혁신성장 동력 기반 산학협력 클러스터 선도대학

공지사항

> 커뮤니티 > 공지사항

HIT

428

1

행사개요

○ 행사명: 2024 2CAU LINC3.0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 대회부문: 기계형 / 소프트웨어형 / 로컬/예술형 / 창업형

○ 참가대상: 2024학년도 2학기 캡스톤디자인(종합설계) 및 정규교과(창업)

교과목 수강팀 * LINC3.0사업 참여학과에 한함

LINC3.0 참여학과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유럽문화학부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사범대학 교육학과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경제학부, 응용통계학부, 광고홍보학과, 국제물류학과, 산업보안학과 공과대학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건축학부, 화학신소재공학부, 기계공학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창의ICT공과대학 전자전기공학부, 융합공학부 소프트웨어대학
소프트웨어학부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생명과학과, 물리학과 생명공학대학 생명자원공학부, 식품공학부, 시스템생명공학과
약학대학 약학부 적십자간호대학 간호학과 체육대학 스포츠과학부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디자인학부, 전통예술학부
예술공학대학 예술공학부

정규교과(창업강좌)의 교과목 인정범위(아래 조건 충족)

창업강좌현황대학()생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역량 배양을 목적으로 개설된 학점이 부여되는 정규 교육과정으로, 교과목명에 창업과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된 강좌

창업 관련 키워드 예시 : “기업가정신”, “창업가정신”, “창업”, “사업계획서”, “지식재산권”, “특허”, “비즈니스모델”,“앙트로팔러십”,“앙트레프레너십”, “entrepreneurship”, “스타트업”, “startup”, “테크노프레너십”,

“technopreneurship”, “테크앙트러팔러십”,“IP(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 “지적재산”, “산업재산”,

“PEV(카우프만재단의 기업가정신교육 약자)”, “사업제안서”, “벤처”, “venture”, “기술사업화”, “창직

* 상기 기준은 대학정보공시 기준임

2

세부내용

○ 추진일정

내용

일정

비고

참가신청

2024.11.23.() ~ 12.8.()

온라인 제출

1차 서류평가 및 결과발표

2024.12.9.() ~ 12.11.()

 

전시자료 제출

~ 2024.12.15.()

1차 합격팀에 한함

2차 발표평가(본선)

2024.12.23.()

작품전시 및 대면평가

최종 결과발표 및 시상식

2024.12.23.()

LINC3.0 산학교육 페어 연계

세부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 평가방법 및 제출서류

평가방법

제출서류

비고

서류평가

- 참가신청서 1(필수)

-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필수)

시스템 내 파일 첨부

팀장은 LINC3.0 사업 참여학과 3, 4학년이어야 함

발표평가

- 발표 및 전시용 소개자료(템플릿 제공)

- 1차 합격팀에 한함

○ 신청방법: 레인보우시스템 - 비교과 프로그램 신청 - 참가신청서 업로드

○ 작품전시: 4개 부문 약 25개 판넬 전시(템플릿 제공)

○ 발표평가: 작품 설명 및 시연 + 질의응답(8분 이내 발표), 4개 부문 동시진행

 

3

 

심사 및 시상

○ 심사방법

- 서류평가를 통해 본선 진출한 팀에 한하여 현장 발표평가 진행

- 발표평가: 작품 설명 및 시연(5) + 질의응답(3), 8분 이내 발표

* 발표평가는 해당 과제에 참여한 학생이 직접 수행

- 심사위원 점수 합산 후 최고점자 순으로 수상자 선발

○ 심사기준

항목

세부내용

점수

창의성

- 아이디어의 독창성 및 진보성

- 기능성, 미적 감각을 반영한 디자인 우수성

- 팀원 간 협업에 따른 작품의 창의성

30

논리성 및 완성도

- 결과물 설계과정의 논리적 타당성

- 결과물 설계의 적합성

- 결과물 제작 및 조립의 완성도

30

발표 충실도 및 협력정도

- 발표의 충실도

- 협력 정도 및 참여도

20

기대효과

- 출품과제의 전시효과

- 결과물의 사업화, 창업 시 시장성 및 기대효과

10

로컬형

지역 연계 적합성

지역 문제 해결 기여도 및 발전 가능성

10

기계형, 소프트웨어형

미래 기술 발전 가능성

기술의 성장 가능성 및 혁신성

예술형

사회적 기여 가능성

예술적 가치 및 메시지 전달

창업형

사업 아이템 적합성

시장 적합성과 차별성

합 계

100

○ 시상 규모

상격

부상

훈격

대상

부문별 1

100만원 상금 및 상장

중앙대학교 총장상

최우수상

부문별 1

70만원 상금 및 상장

중앙대학교 LINC3.0사업단장상

우수상

부문별 1

50만원 상금 및 상장

중앙대학교 LINC3.0사업단장상

장려상

부문별 2

30만원 상금 및 상장

중앙대학교 LINC3.0사업단장상



3

 

작품유형

제작유형

작품내용

기계형

(Mechanical Design)

기계형 캡스톤 디자인은 기계적 시스템 또는 기계 장치의 설계와 제작을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

핵심 요소: 기계적 설계, 제조 공정

로봇 팔 설계 (Robot Arm Design):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로봇 팔의 설계 및 제작

자동화 시스템 (Automation System): 공정 자동화를 위한 기계적 시스템 개발

스마트 가전기기 (Smart Home Appliances): 가정용 기계 장비의 기능 향상을 위한 설계 및 구현

소프트웨어형

(Software Design)

소프트웨어형 캡스톤 디자인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또는 도구를 개발하는 프로젝트

핵심 요소: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 설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Mobile Application):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모바일 앱 개발

웹 플랫폼 (Web Platform): 사용자 상호작용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데이터 분석 도구 (Data Analysis Tools):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소프트웨어 도구 개발

로컬/예술형

(Local/Artistic Design)

로컬/예술형 캡스톤 디자인은 예술적 표현 또는 지역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

핵심 요소: 예술적 디자인, 창의성, 지역 자원 활용, 예술적 표현

예술적 창작물 (Artistic Creations): 시각 예술, 설치미술, 퍼포먼스 아트 등 창의적인 예술적 작품 제작

디지털 아트 작품 (Digital Art Projects): 인터랙티브하거나 시각적으로 독특한 디지털 아트 설치물 제작

예술적 공간 디자인 (Artistic Space Design): 전시회, 갤러리, 공연 공간 등 예술적 공간의 설계 및 구현

멀티미디어 프로젝트 (Multimedia Projects): 비디오, 음악, 그래픽 등의 요소를 결합한 창의적 콘텐츠 개발

지역 자원 활용 (Utilizing Local Resources): 지역의 자연, 전통, 문화 등을 활용한 창의적 프로젝트 개발

지역 문화 콘텐츠 (Local Cultural Content):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예술적 표현 (: 지역 전통이나 특산물을 활용한 작품 제작)

로컬/예술형

(Local/Artistic Design)

창업형

(Strat-Up

Design)

창업형 캡스톤 디자인은 창업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스타트업 프로젝트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나 제품/서비스 개발

핵심 요소: 사업화, 창업 아이디어 개발

스타트업 아이디어 개발 (START-UP Idea Development):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나 제품/서비스를 창출하여 창업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

위 사례들은 각 유형별 작품 예시이므로 참조 바람

 

4

 

문의처

☎ LINC3.0사업운영팀 / 02-820-6886 / capstone_linc@cau.ac.kr



 




이전글 2024 제2회 CAU LINC3.0 WISE DAY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